#상업입지이론
#소매인력법칙
#중력모형
#분기점모형
#수정소매인력법칙
#확률모형
#소매지역이론
#레일리
#컨버스
#허프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상업입지이론
소매인력법칙(중력모형)
레일리
1.상권의 흡인력은 두 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하고 두 도시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A도시와 B도시로의 인구유입비율
XA/XB = A도시의인구/B도시의인구 * (B도시까지의거리/A도시까지의거리)2
3.A도시가 B도시보다 크다면 상권의 경계는 B도시에 가깝다.
즉, A도시의 재화의 도달범위가 더 크다는 의미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수정소매인력법칙(분기점모형)
컨버스
상권경계점은 두 도시가 미치는 구매영향력이 같은 점으로서 두 점포로의 구매지향비율이 1:1인 지점을 말한다.
XA/XB=A매장면적/B매장면적 * (B매장까지의거리/A매장까지의거리)2=1/1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소매지역이론(확률모형)
허프
1.소비자가 쇼핑패턴을 결정하는 확률모델을 제시한 모형으로 다수의 매장단위로 상권을 분석한다
2.소비자가 특정매장으로 구매하러 갈 확률은 점포면적에 비례하고 마찰계수 값을 고려하여 거리에 반비례, 경쟁점포 수에 반비례하여 결정된다.
특정매장에구매하러갈중력=매장면적/거리마찰계수
3.공간(거리)마찰계수는 시장의 교통조건과 쇼핑물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교통조건이 나쁠수록 공간마찰계수가 커지게 된다.
전문품점은 일상용품점보다 공간마찰계수가 더 작다
4.가까운 곳에 고차원중심지가 존재하면 인근의 저차원중심지를 지나칠 가능성은 커진다.
5.고정된 상권을 놓고 경쟁.
제로섬게임이 된다는 한계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중심지이론
#크리스탈러
1.고차중심지의 배후지 안에 저차재만 제공하는 저차중심의 배후지는 중첩되어 나타난다.( #중심지계층간의포섭의원리 )
2.공간적 중심지 규모의 크기에 따라 상권의 규모가 달라진다.
3.중심지의 성립요건
중심지 : 배후지역에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중심기능을 가지는 장소를 말한다.
배후지 : 중심지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변지역
재화 및 서비스 : 중심지에서 배후지로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
최소요구치 : 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수요 요구 규모
최소요구범위 : 판매자가 정상이윤을 얻을 만큼의 충분한 소비자들을 포함하는 경계까지의 거리
도달범위 : 소비자가 기꺼이 통행하려는 최대한의 범위, 판매량이 0이되는 한계범위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소매입지이론
#넬슨
1.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매출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떤 장소에 입지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2.양립성 : 서로 다른 점포가 인접해 있으면 고객이 한곳에 머무르면서 점포의 매출고가 높아진다는 개념이다.
완전경쟁시장과 달리 부동산시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부동산은 일반적으로 고가이므로 자금조달가능성이 시장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2.부동산시장의 특징 중 하나는 특정지역에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3.부동산상품은 개별성이 있어 부동산시장에서는 일몰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4.부동산상품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역시장에 따라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5.부동산시장에서는 불완전한 정보의 차이로 인하여 시장참여자가 초과이윤을 획득할 수 있다.
정답.2.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의 고가성으로 인하여 특정지역에 생산자와 소비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시장참여가 자유롭지 못한 편이므로 불완전경쟁시장에 해당된다.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시장진입과 탈퇴가 자유롭다는 것으로 완전경쟁시장의 성립요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