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간구조이론
#버제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20세기 초반 미국 시카고대학의 시카고학파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2.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3.도시의 공간구조 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4.튀넨의 고립국이론은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을 농업부문에 응용한 것이다.
5.이 이론에 따르면 천이지대(혹은 점이지대)는 중심업무지구와 저소득층 주거지대의 사이에 위치한다.
정답.4.
#튀넨 의 #고립국이론 을 도시구조이론에 응용한 것이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이다.
튀넨의 고립국이론은 버제스의 동심원이론에 영향을 주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도시공간구조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이지 소득의 증가와는 관계가 없다.
2.버제스는 도시의 성장과 분화가 주요 교통망에 따라 확대되면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3.호이트는 도시의 공간구조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4.동심원이론에 의하면 점이지대는 고급주택지구보다 도심으로부터 원거리에 속한다.
5.다핵심이론의 핵심요소에는 공업, 소매, 고급주택 등이 있으며, 도시성장에 맞춰 핵심의 수가 증가하고 특화될 수 있다.
정답.5.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 및 소득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 동심원이론에서는 소득의 변화가 도시구조를 변화시키며 호이트의 선형이론에 따르면 소득수준이나 교통체계의 변화는 도시구조를 변화시킨다.
호이트의 선형이론에서는 도시의 성장과 분화가 주요 교통망에 따라 확대되면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바제스의 동심원이론에서는 도시의 공간구조형성을 침입, 경쟁, 천이 등의 과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동심원이론에 의하면 점이지대는 고급주택지구보다 도심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상업입지이론
인구 20,000명의 A도시와 5,000명의 B도시 사이에 소비자 거주지가 있다. 이 소비자 거주지는 A도시로부터 4km, B도시로부터는 2km 떨어져 있다.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에 따르면 이 소비자 거주지에서 A도시로 구매고객은 몇 % 유입될 것인가?(단, 다른 조건은 일정함)
1.40%
2.50%
3.60%
4.75%
5.80%
정답.2.50%
XA/XB
= (A도시의인구/B도시의인구)*(B도시까지의거리/A도시까지의거리)2
=(20,000/5,000)*(2km/4km)2
=1/1
따라서 A도시와 B도시로 유인될 비율은 1 : 1 이므로 소비자 거주지에서 각 도시로 유인되는 인규모는 각각 50%이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