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금융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주택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담보인정비율(LTV)은 주택의 담보가치를 중심으로 대출규모를 결정하는 기준이다.
2.대출비율이 높아질수록 담보대출금리는 낮아진다.
3.총부채상환비율은 차입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상환능력을 평가할 때 사용된다.
4.주택저당대출의 기준인 담보인정비율과 차주상환능력이 변경되면 주택수요가 변화될 수 있다.
5.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에 적용하는 소득대비 부채비율을 상향조정하면 융자가능액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정답.2.
대출비율이 높아질수록 융자액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대출기관의 원금회수위험(채무불이행위험)이 커지므로 #담보대출금리 는 높아진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고정금리 주택금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고정금리저당대출은 변동금리저당대출보다 초기 이자율이 더 높다.
2.대출시점의 예상 인플레이션보다 실제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융기관에는 이익이고 차입자는 손해이다.
3.향후 금리변동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면 차입자는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로 대출받는 것이 금리변동위험을 줄일 수 있다.
4.시장이자율이 대출약정이자율보다 높아지면 대출기관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악화된다.
5.대출 이후 시장이자율이 대출약정이자율보다 낮아지면 고정금리 차입자에게 조기상환할 유인이 생긴다.
정답.2.
#고정금리
#변동금리
예상인플레이션보다 실제인플레이션이 높으면 금융기관에는 손해이고, 차입자는 상대적으로 이익이 된다.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대출기관은 상대적으로 불리해지고 차입자는 상대적으로 유리해진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A금융기관은 원금균등분활상환방식과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의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두 방식에 의해 산정한 첫 번째 월 불입액의 차액은?
주택가격 : 6억원
담보인정비율(LTV) : 50%
대출조건(매월 말 상환) : 대출기간은 30년, 대출이자율은 연 6%(월 0.5%, 월 저당상수 0.006443)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 3년 거치 후 원금균등분할상환하며, 거치기간 동안에는 이자만 지급함)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 거치기간 없음
1.332,900원
2.432,900원
3.532,900원
4.632,900원
5.732,900원
정답.2.
LTV50%=융자금/부동산가격=융자금(a)/6억원
융자금(a)=6억원*0.5=3억원
#원금균등분할상환방식
연이자 : 융자금3억원*연이자율0.06(6%)=1,800만원
월이자 : 연이자1,800만원/12개월=융자금3억원*월이자율0.005(0.5%)=150만원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월원리금=융자금3억원*월저당상수0.006443=1,932,900원
1,932,900-1,500,000=432,900원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출조건이 동일할 경우 대출상환방식별 대출채권의 가중평균상환기간이 짧은기간에서 긴 기간의 순서로 옳은 것은?
원금균등분할상환>>>원리금균등분할상환>>>만기일시상환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저당담보부증권(MBS) 도입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주택금융이 확대됨에 따라 대출기관의 자금이 풍부해져 궁극적으로 주택자금대출이 확대될 수 있다.
2.주택금융의 대출이자율 하락과 다양한 상품설계에 따라 주택 구입시 융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될 수 있다.
3.주택금융의 활성화로 주택건설이 촉진되어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4.주택금융의 확대로 자가소유가구 비중이 감소한다.
5.대출기관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담보대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정답.4.
주택금융의 확대(자금공급이 늘어남에 따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고 자가소유가구 비중이 증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