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저당유동화제도
#MBS
주택저당유동화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주택저당유동화제도가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1차 저당시장의 대출금리가 2차 저당시장의 금리보다 높아야 한다.
2.2차 저당시장은 1차 저당시장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활을 한다.
3.2차 저당시장에서 발행되는 투자상품은 주택대출금리보다 더 높은 액면금리를 가진다.
4.한국주택금융공사는 장기보금자리론에 소요되는 자금을 주택저당증권의 발행을 통해서 조달하고 있다.
5.한국주택금융공사법령상 자산의 양도인은 주택저당채권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가지지 않는다.
정답.3.
2차 저당시장에서 발행되는 투자상품은 1차 저당시장의 주택대출금리보다 더 낮은 액면금리를 가진다. 그렇지만 MBS수익률은 #국채수익률 보다 높아야 한다. 이렇게 해야만 기관투자자의 자금을 유인할 수 있다.
저당담보부증권(MBS) 도입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주택금융이 확대됨에 따라 대출기관의 자금이 풍부해져 궁극적으로 주택자금대출이 확대될 수 있다.
2.주택금융의 대출이자율 하락과 다양한 상품설계에 따라 주택 구입시 융자받을 수 있는 금액이 증가될 수 있다.
3.주택금융의 활성화로 주택건설이 촉진되어 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4.주택금융의 확대로 자가소유가구 비중이 감소한다.
5.대출기관의 유동성이 증대되어 소비자의 담보대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정답.4.
주택금융의 확대로 주택수요가 증가하고 자가소유가구 비중이 증가할 수 있다.
다음 중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업무가 아닌 것은?
1.주택저당채권 유동화 및 주택저당증권 발행
2.주택저당증권 지급보증 및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른 유동화전문회사 등이 주택저당채권을 유동화자산으로 하여 발행한 유동화증권 지급보증
3.장기 보금자리론 및 안심전환 적격대출 공급
4.주택담보노후연금 보증
5.주택도시기금 관리 및 운용
정답.5.
주택도시기금의 관리 운용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업무가 아니다. 주택도시기금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운영 관리하며 2015년 7월 1일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주택도시기금의 전담 운용기관으로 지정되었다.
모기지(mortgage) 유동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는 지분형 증권이다.
2.MPTB(mortgage pay-through bond)의 경우 조기상환위험은 증권발행자가 부담하고, 채무불이행위험은 투자자가 부담한다.
3.MBB(mortgage backed bond)의 경우, 신용보장을 위한 초과담보가 필요하다.
4.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는 상환우선순위와 만기가 다른 다수의 층(tranche)으로 구성된 증권이다.
5.우리나라의 모기지 유동화중개기관으로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있다.
정답.2.
#MPTB ( #mortgage pay-through bond)의 경우, 조기상환위험은 증권투자자가 부담하고 채무불이행위험은 증권발행자가 부담한다.
저당담보부 증권(MBS)의 가격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투자자들이 가까운 시일에 채권시장 수익률의 하락을 예상한다면 가중평균상환기간(duration)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일수록 그 가격이 더 크게 하락한다.
2.채무불이행위험이 없는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은 채권시장 수익률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3.자본시장 내 다른 투자수단들과 경쟁하므로 동일위험 수준의 다른 투자수단들의 수익률이 상승하면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4.채권시장 수익률이 상승할 때 가중평균상환기간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일수록 그 가격의 변동 정도가 작다.
5.고정이자를 지급하는 저당담보부증권은 채권시장 수익률이 상승하면 그 가격이 하락한다.
정답.5.
#가중평균상환기간 ( #duration )= #채권 ( #bond )의만기
다른 조건이 일정할때 채권수익률이 상승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한다.
채권수익률이 하락하면 채권의 가격은 상승한다.
투자자들이 가까운 시일에 채권시장 수익률의 하락을 예상한다면 가중평균상환기간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일수록 그 가격이 더 크게 상승한다.
채권발행자의 채무불이행위험이 없는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도 채권시장의 수익률의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자본시장 내 다른 투자수단들과 경쟁하므로 동일위험수준의 다른 투자수단들의 수익률이 상승하면 저당담보부증권의 가격은 하락한다.
채권시장의 수익률이 상승할 때 가중평균상환기간이 긴 저당담보부증권일수록 그 가격의 변동 정도가 크다.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가격변동위험이 크다.
부동산 관련 제도 중 법령상 도입이 빠른 순서대로...
#공인중개사제도 (1985년)
#부동산실명제 (1995년)
#자산유동화제도 (1998년)
#부동산거래신고제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