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리금균등분할상환
#일시불의현가계수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임대인 A와 임차인 B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려고 한다. 향후 3년간 순영업소득의 현재가치 합계는?(모든 현금유출입은 매 기간 말에 발생함)
연간 임대료는 1년차 4,000만원에서 매년 100만원씩 증가
연간 영업경비는 1년차 1,000만원에서 매년 200만원씩 증가
1년 후 일시불의 현가계수 0.95
2년 후 일시불의 현가계수 0.90
3년 후 일시불의 현가계수 0.85
1.7,120만원
2.7,240만원
3.7,440만원
4.7,640만원
5.7,840만원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정답.5.
순영업소득=임대료수입-영업경비
1년차
순영업소득 3,000만원*일시불의 현가계수 0.95 = 2,850만원
2년차
순영업소득 2,900만원*일시불의 현가계수 0.90 = 2,610만원
3년차
순영업소득 2,800만원*일시불의 현가계수 0.85 = 2,380만원
순영업소득의 현재가치는
7,840만원=2,850만원+2,610만원+2,380만원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화폐의 시간가치 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임대기간 동안 월 임대료를 모두 적립할 경우, 이 금액의 현재시점 가치를 산정한다면 연금의 현재가치수를 사용한다.
2.연금의 현재가치계수에 감채기금계수를 곱하면 일시불의 현재가치계수이다.
3.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매기 일정액을 상환하다가 중도상환시에 미상환대출잔액은 융자금에 연금의 현가계수(남은 기간)를 곱하여 구한다.
4.잔금비율은 저당대출액에 대한 미상환된 금액의 비율을 말하며 이자율, 만기, 남은 저당기간의 함수이다.
5.잔금비율과 상환비율의 합은 '1'이 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정답.3.
#원리금균등상환방식 으로 매 기 일정액을 상환하다가 #중도상환시 에 #미상환대출잔액 은 #연금의현가계수 를 사용하되, 융자금에 잔금비율을 곱하여 구한다.
또는 원리금에 연금의 현가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원리금균등상환방식에 따른 시점의 미상환대출잔액
=원리금*연금의현가계수(남은기간)
=융자금*저당상수(만기)*연금의현가계수(남은기간)
또는
융자금*잔금비율로 구할 수 있다.
=융자금*(연금의현가계수(남은기간)/연금의현가계수(만기))
임대기간 동안 월 임대료를 모두 적립할 경우, #연금의내가계수 를 사용하여 n년 후의 금액을 구하고 이를 다시 일시불의 현가계수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구할 수 있다.
또는
연금의 현가계수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연금의 현재가치계수(0.9)에 감채기금계수(1)를 곱하면 일시불의 현재가치계수(0.9)이다.
잔금비율 0.48+상환비율0.52 = 1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A씨는 원리금균등분할상환조건으로 1억원을 대출받았다. 은행의 대출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대출 후 5년이 지난 시점에 남아 있는 대출잔액은?(단, 만원단위 미만은 절사하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대출금리 : 고정금리 연5%
총대출기간과 상환주기 : 30년, 월말 분할상환
월별 원리금지급액 : 54만원
기간이 30년인 저당상수 : 0.0054
기간이 25년인 연금의 현가계수 : 171.06
1.8,333만원
2.8,500만원
3.8,750만원
4.9,237만원
5.9,310만원
정답.4.
원리금균등상환방식에 따른 t시점에서 미상환대출잔액을 구할 때에는 원리금에 연금의 현가계수(남은기간)를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제시된 저당상수와 연금의 현가계수 값은 월단위 기준 값을 가정한다
#융자기간이30년일때 , #5년경과후중도상환시미상환대출잔액 은
매월 원리금 54만원*월 연금의 현가계수(남은기간 25년, 300개월)
171.06=9,237만원
융자금에 잔금비율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9,237만원=융자금 1억원*잔금비율0.9237
=연금의 현가계수25년(300개월) 171.06/연금의 현가계수30년(360개월)*185.18
연금의 현가계수(30년, 360개월)값은 저당상수(30년, 360개월) 0.0054의 역수로 구할 수 있다.
1/0.0054=185.18
잔금비율은
171.06/185.18=0.9237